국토면적의 16.58%가 도시지역 ... 국민 91.58%가 거주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2013년도 도시일반현황, 용도지역·지구·구역현황, 도시·군계획시설현황 등이 담긴 도시계획현황 통계를 조사․공표합니다.
○ 통계목적: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에 의한 전국토의 용도지역 /지구/구역, 도시·군계획시설 등과 관련된 자료를 수록하여 도시정책수립 등 도시계획분야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 통계종류: 국가승인 보고통계(제31502호)
|
2013년 도시계획현황통계 조사결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지역* 상 전 국토의 면적은 106,106㎢이며, 그 중 도시지역 면적은 17,593㎢로서 이는 전체면적의 약 16.58%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총인구 5,114만여 명 중 4,683만여 명이 도시지역** (91.58%)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① 주요 통계 내용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용도지역 지정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체 용도지역(106,106㎢) 중 농림지역 49,403㎢(46.6%), 관리지역 27,093㎢(25.5%), 도시지역 17,593㎢(16.6%), 자연환경보전지역 12,017㎢(11.3%)로 조사되었으며, 도시지역 17,593㎢(16.6%) 중 녹지지역 12,683㎢(72.1%), 주거지역 2,580㎢(14.7%), 공업지역 1,122㎢(6.4%), 미지정지역 884㎢(5.0%), 상업지역 325㎢(1.9%)로 나타났습니다.
( 괄호안 비율은 용도지역 전체에 대한 면적비율임)
용도지역 지정면적의 증감현황은 전년(2012년)과 대비하여 도시지역은 주거지역(+17㎢), 상업지역(+2㎢), 공업지역(+13㎢) 및 녹지지역(+1㎢)이 증가하고, 미지정지역*(-26㎢)이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약 6㎢가 증가하였습니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42조에 따라 항만법 등 개별 법률에 의한 사업지구는 도시지역 내 실시계획 수립 이전까지 미지정지역으로 분류함 |
관리지역은 71㎢ 증가한 반면, 농림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지역은 각각 85㎢, 62㎢ 감소하였습니다.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도 전년보다 455,660명(경기도 평택시 인구 수준) 증가한 46,837,578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91.58%가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도시지역인구비율 》
도시계획으로 결정된 전국 도시․군계획시설*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도시․군계획시설 전체 결정면적은 6,721㎢으로, 그 중 도로 등 교통시설이 2,196㎢(32.7%)로 가장 많고, 이어서 하천 등 방재시설 1,724㎢(25.6%), 공원 등 공간시설 1,506㎢(22.4%) 순으로 조사되었고, 도시․군계획시설로 결정된 시설 중 아직 사업이 완료되지 못한 미집행 도시․군계획시설*의 면적은 전국에 1,406㎢이며, 이중공원 등 공간시설이 771㎢(54.9%)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도로 등 교통시설이 425㎢(30.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 “도시․군계획시설”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국민의 생활이나 도시기능의 유지 등에 필요한 도로, 철도, 공원, 수도, 전기, 가스공급설비, 학교, 공공청사, 하천 및 하수도 등 기반시설을 말함. |
② 도시계획현황 통계 활용
매년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취합, 작성되는 도시계획현황 통계는 도시정책 및 도시계획 수립, 교부세 산정 근거자료 제공, 지역개발계획 구상 등 정책 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통계 상세 자료는 인터넷 도시포털(http://www.city.go.kr), 통계누리(https://stat.molit.go.kr) 및 e-나라지표(http://www.index.go.kr) 등을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용도지역 지정현황 |
<용도지역 현황> |
시도 | 전체면적 (㎢) | 도시지역 | 관리지역 | 농림지역 | 자연환경보전지역 | ||||
면적(㎢) | 비율(%) | 면적(㎢) | 비율(%) | 면적(㎢) | 비율(%) | 면적(㎢) | 비율(%) | ||
전국 | 106,106 | 17,593 | 16.6 | 27,093 | 25.5 | 49,403 | 46.6 | 12,017 | 11.3 |
서울 | 606 | 606 | 100.0 | 0 | 0.0 | 0 | 0.0 | 0 | 0.0 |
부산 | 996 | 943 | 94.7 | 0 | 0.0 | 0 | 0.0 | 53 | 5.3 |
대구 | 883 | 798 | 90.4 | 0 | 0.0 | 37 | 4.2 | 48 | 5.4 |
인천 | 1,154 | 580 | 50.3 | 312 | 27.0 | 263 | 22.8 | 0 | 0.0 |
광주 | 501 | 480 | 95.8 | 18 | 3.6 | 4 | 0.8 | 0 | 0.0 |
대전 | 540 | 495 | 91.7 | 9 | 1.7 | 29 | 5.4 | 7 | 1.3 |
울산 | 1,145 | 755 | 65.9 | 62 | 5.4 | 284 | 24.8 | 44 | 3.8 |
세종 | 465 | 140 | 30.1 | 173 | 37.2 | 149 | 32.0 | 3 | 0.6 |
경기 | 10,356 | 3,340 | 32.3 | 3,004 | 29.0 | 3,593 | 34.7 | 420 | 4.1 |
강원 | 16,912 | 1,022 | 6.0 | 3,237 | 19.1 | 10,930 | 64.6 | 1,722 | 10.2 |
충북 | 7,403 | 722 | 9.8 | 2,275 | 30.7 | 3,570 | 48.2 | 836 | 11.3 |
충남 | 8,762 | 901 | 10.3 | 3,092 | 35.3 | 4,027 | 46.0 | 742 | 8.5 |
전북 | 8,130 | 886 | 10.9 | 2,568 | 31.6 | 3,974 | 48.9 | 703 | 8.6 |
전남 | 15,370 | 1,731 | 11.3 | 3,399 | 22.1 | 6,272 | 40.8 | 3,968 | 25.8 |
경북 | 19,129 | 1,847 | 9.7 | 4,970 | 26.0 | 11,174 | 58.4 | 1,138 | 5.9 |
경남 | 11,705 | 1,894 | 16.2 | 2,872 | 24.5 | 4,992 | 42.6 | 1,947 | 16.6 |
제주 | 2,050 | 453 | 22.1 | 1,103 | 53.8 | 108 | 5.3 | 386 | 18.8 |
■ 용도지역 지정면적 증감현황 |
<용도지역 증감현황> |
구 분 | 2012년(㎢) | 2013년(㎢) | 증감(㎢) | 증감률(%) | |
합 계 | 106,176 | 106,106 | △70 | △0.1% | |
도시지역 | 17,587 | 17,593 | 6 | 0.0% | |
주거지역 | 2,563 | 2,580 | 17 | 0.6% | |
상업지역 | 323 | 325 | 2 | 0.6% | |
공업지역 | 1,109 | 1,122 | 13 | 1.2% | |
녹지지역 | 12,682 | 12,683 | 1 | 0.0% | |
미지정지역 | 910 | 884 | △26 | △2.9% | |
관리지역 | 27,022 | 27,093 | 71 | 0.3% | |
농림지역 | 49,488 | 49,403 | △85 | △0.2% | |
자연환경보전지역 | 12,079 | 12,017 | △62 | △0.5% |
■ 도시지역 인구비율 및 도시지역 인구 현황 |
□ 도시지역 인구비율 추이
□ 도시지역 인구 현황
시도 | 전체인구(명) | 도시지역인구(명) | 비도시지역인구(명) | 도시지역 인구비율(%) |
전국 | 51,141,463 | 46,837,578 | 4,303,885 | 91.58 |
서울 | 10,143,645 | 10,143,645 | 0 | 100.00 |
부산 | 3,527,635 | 3,527,635 | 0 | 100.00 |
대구 | 2,501,588 | 2,501,055 | 533 | 99.98 |
인천 | 2,879,782 | 2,818,829 | 60,953 | 97.88 |
광주 | 1,472,910 | 1,472,910 | 0 | 100.00 |
대전 | 1,532,811 | 1,532,654 | 157 | 99.99 |
울산 | 1,156,480 | 1,154,500 | 1,980 | 99.83 |
세종 | 122,153 | 95,541 | 26,612 | 78.21 |
경기 | 12,234,630 | 11,381,947 | 852,683 | 93.03 |
강원 | 1,542,263 | 1,255,214 | 287,049 | 81.39 |
충북 | 1,572,732 | 1,308,522 | 264,210 | 83.20 |
충남 | 2,047,631 | 1,387,602 | 660,029 | 67.77 |
전북 | 1,872,965 | 1,474,370 | 398,595 | 78.72 |
전남 | 1,907,172 | 1,338,135 | 569,037 | 70.16 |
경북 | 2,699,440 | 2,081,294 | 618,146 | 77.10 |
경남 | 3,333,820 | 2,825,666 | 508,154 | 84.76 |
제주 | 593,806 | 538,059 | 55,747 | 90.61 |
* ‘도시지역’이라 함은 행정구역상 도시가 아닌 국토계획법상 4개 용도지역 중 도시지역을 의미
■ 도시․군계획시설 현황 |
|
□ 도시·군계획시설 결정 현황
시설 구분 | 결정 면적 (㎢) | 비율 (%) |
전 체 | 6,721.0 | 100.0 |
교통시설 | 2,196.2 | 32.7% |
공간시설 | 1,506.1 | 22.4% |
유통 및 공급시설 | 218.4 | 3.2% |
공공문체육시설 | 936.6 | 13.9% |
방재시설 | 1,723.7 | 25.6% |
보건위생시설 | 52.2 | 0.8% |
환경기초시설 | 87.9 | 1.3 |
□ 도시·군계획시설 종류
시설구분 | 도시·군계획시설 종류 |
교통시설 | 도로, 철도, 항만, 공항, 주차장, 자동차정류장, 궤도, 운하, 자동차 및 건설기계검사시설, 자동차 및 건설기계운전학원 |
공간시설 | 광장, 공원, 녹지, 유원지, 공공공지 |
유통및공급시설 | 유통업무설비, 수도공급설비, 전기공급설비, 가스공급설비, 열공급설비, 공동구, 시장, 유류저장 및 송유설비, 방송통신시설 |
공공문화체육시설 | 학교, 운동장, 공공청사, 문화시설, 체육시설, 도서관, 연구시설, 사회복지시설, 공공직업훈련시설, 청소년수련시설 |
방재시설 | 하천, 유수지, 저수지, 방풍설비, 방수설비, 방화설비, 사방설비, 방조설비 |
보건위생시설 | 화장장, 공동묘지, 납골시설, 도축장, 장례식장, 종합의료시설, 자연장지 |
환경기초시설 | 하수도, 폐기물처리시설, 수질오염방지시설, 폐차장 |
■ 미집행 도시․군계획시설 현황 |
|
□ 시설별 미집행 면적현황 비율
시설 구분 | 미집행 면적 (㎢) | 비율 (%) | |
합 계 | 1,406.0 | 100.0 | |
교통시설 | 도 로 | 383.7 | 27.3 |
철 도 | 5.4 | 0.4 | |
주 차 장 | 5.7 | 0.4 | |
자 동 차 정 류 장 | 1.3 | 0.1 | |
항만 | 27.4 | 2.0 | |
공항 | 1.4 | 0.1 | |
궤도삭도운하 | 0.2 | 0.0 | |
검사시설및운전학원 | 0.0 | 0.0 | |
소계 | 425.1 | 30.24 | |
공간시설 | 광장 | 27.3 | 1.9 |
공원 | 600.9 | 42.7 | |
녹지 | 71.8 | 5.1 | |
유원지 | 69.5 | 4.9 | |
공공공지 | 2.1 | 0.1 | |
소계 | 771.5 | 54.9 | |
유통 및 공급시설 | 15.8 | 1.1 | |
공공문화체육시설 | 학교 | 14.1 | 1.0 |
공공청사 | 4.4 | 0.3 | |
공공문화체육기타 | 68.8 | 4.9 | |
소계 | 87.2 | 6.2 | |
방재시설 | 97.0 | 6.9 | |
보건위생시설 | 4.1 | 0.3 | |
환경기초시설 | 5.3 | 0.4 |
140722(조간) 숫자로 보는 2013 도시계획현황 통계 발표(도시정책과).hwp
'지난 소식 > 국토교통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 똑똑한 신호등 ! 불필요한 신호대기 사라진다 (0) | 2014.07.22 |
---|---|
[교통] 인구. 수요 맞춰 택시 적정 공급량 결정 (3) | 2014.07.22 |
[도시] 숫자로 보는'2013 도시계획현황 통계' 발표 (1) | 2014.07.21 |
[교통] 광역버스 입석대책 안정적 정착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 (1) | 2014.07.21 |
[혁신도시] 한국동서발전(주), 신사옥 입주 기념식 (0) | 2014.07.21 |
[교통] 자동차 대체부품 사용 활성화 위해 정부와 업계 손잡다! (0) | 2014.07.21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중형컴퓨터
2014.12.02 18:52 [ ADDR : EDIT/ DEL : REPL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