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여객 11.1%, 항공화물 7.40% 증가(전년 동기 대비)
2014년 7월 항공운송시장은 여객 및 화물시장 모두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기록하여 상승세를 지속했습니다.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2014년 7월 항공여객은 전년 동월 대비 11.1% 증가했고 항공화물은 7.4%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국제선 여객은 항공사 여객기 운항 확대 및 중국과 홍콩 방한수요 확대에 따른 직항여객 수송증가, 아시아 근거리 시장에서의 한국여행 선택 확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10.6% 상승하여 역대 7월 중 최대실적 기록(513만 명)했습니다.
* 국제여객 : 333만명(’07. 7) → 310만명(’08. 7) → 306만명(’09. 7) → 357만명(’10. 7) → 394만명(’11. 7) → 434만명(’12. 7) → 463만명(’13. 7) → 513만명(’14. 7)
지역별로는 중국(23.2%)과 유럽(10.4%), 동아시아(11.1%) 노선이 전년 동월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일본* 노선은 한일간 정세악화 지속 등으로 4.1% 감소했습니다.
* ’13년 3월부터 최근까지 17개월 연속 전년 동월대비 마이너스 성장
공항별로는 중국노선 운항이 큰 폭으로 확대되면서 양양(7,108명→26,039명, 266.3%)・청주(133.8%)・대구(109.9%)공항 실적이 크게 증가하고, 제주공항도 21.3% 증가하는 등 성장세를 기록했습니다.
항공사별로는 국적항공사 점유율은 61.8%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는 50.7%, 저비용항공사는 11.1%를 기록했습니다.
* LCC 분담률 : 2.5(’10.7) → 4.5(’11.7) → 8.0%(’12.7) → 10.5%(’13.7) → 11.1(’14.7)
국내선 여객은 김포-제주 노선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LCC 취항 증가에 따른 지방공항의 실적이 증가하면서 7월 전체 국내선 실적은 전년 동월대비 12.1% 증가했습니다.
* 국내여객 : 135만명(’07. 7) → 137만명(’08. 7) → 152만명(’09. 7) → 168만명(’10. 7) → 173만명(’11. 7) → 184만명(’12. 7) → 193만명(’13. 7) → 217만명(’14. 7)
공항별로는 7월 여름 성수기로 인해 김포(11.2%)와 제주(14.9%)공항의 여객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제주노선의 높은 탑승율로 대구(63.5%)와 양양(5,066명, 순증)공항이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항공사별로는 대형항공사가 전년 동월대비 7.7% 증가한 106만명을 수송하여 49.1%의 점유율을 보였으며 저비용항공사는 1.9%p 증가한 110만명을 수송하여 50.9%의 시장을 점유했습니다.
* LCC 분담률 : 34.2%(’10.7) → 41.8%(’11.7) → 43.0%(’12.7) → 49.0%(’13.7) →50.9%(’14.7)
항공화물의 경우 항공사의 화물기 운항 확대와 수출입 호조에 따른 국내 및 국제화물 증가로 전년대비 7.4% 성장하여 31만톤을 기록했습니다.
* 항공화물 : 29만톤(’07. 7) → 27만톤(’08. 7) → 27만톤(’09. 7) → 31만톤(’10. 7) → 30만톤(’11. 7) → 29만톤(’12. 7) →29만톤(’13. 7) → 31만톤(’14. 7)
국제화물의 경우 항공사의 화물기 운항편 확대 및 선진국 경기회복에 힙입은 수출 및 수입 호조로 인한 화물 수송량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대비 6.4% 증가(27.0만 톤 → 28.8만 톤)했으며 국내 화물도 제주노선 화물 증가로 2.4만톤으로 전년 동월대비 20.7% 증가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주변 국가와의 경쟁 심화, 환율 변동성 확대, 세계 경제 성장 둔화 및 국내 경기회복 지연 등 대내외적 요인으로 인한 잠재적 리스크도 상존하나 국제․국내선 운항증가, 한류 영향에 따른 외국인 방한수요 확대, 휴대기기 및 반도체 관련상품 수출 호조 지속 및 원화가치 상승에 힘입은 수입물량 증가 등으로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습니다.
■ 2014년 상반기 항공시장동향 |
Ⅰ | 우리나라 항공운송시장 |
□ (총 괄) ’14년 상반기 항공여객은 항공 노선 및 운항편 확대, 원화 강세로 인한 내국인 해외관광 증가, 동계올림픽 및 월드컵 영향, 한류에 따른 외국인 방한수요 확대 등으로 전년 동기대비 9.4% 증가하여 역대 상반기 중 최대실적 기록(3,509만명 → 3,838만명)
ㅇ ’14년 상반기 항공화물은 화물기 운항확대 및 수출호조 지속 등으로 전년 동기대비 5.0% 증가(170만톤 → 179만톤) 기록
<’14년 상반기 항공운송실적 요약>
구분 | 2013년 상반기 | 2014년 상반기 | |||
실적 | 증감률(%) | 실적 | 증감률(%) | ||
운항(회) | 국내 | 78,344 | -0.2 | 81,930 | 4.6 |
국제 | 164,918 | 10.5 | 175,225 | 6.2 | |
계 | 243,262 | 6.8 | 257,155 | 5.7 | |
여객(명) | 국내 | 10,691,394 | -2.5 | 11,648,437 | 9.0 |
국제 | 24,397,951 | 6.7 | 26,729,422 | 9.6 | |
계 | 35,089,345 | 3.7 | 38,377,859 | 9.4 | |
화물(톤) | 국내 | 123,380 | -13.6 | 131,651 | 6.7 |
국제 | 1,580,392 | 0.5 | 1,657,681 | 4.9 | |
계 | 1,703,772 | -0.6 | 1,789,331 | 5.0 |
* 유임, 국내선 출발, 국제선 출발+도착, 화물 우편 및 수하물 포함, 단, 국제선 국내공항 경유지는 출발 기준
** 증감률은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국제여객) 국제선은 원화강세로 인한 내국인 해외여행 증가, 항공사 여객기 운항편 확대, 한국 드라마 인기에 힘입은 중국과 동아시아 방한수요 확대에 따른 직항여객 수송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9.6% 증가하여 역대 상반기 중 최대실적 기록
* 국제여객 : 1,595만명(’09년 상반기) → 1,915만명(’10년 상반기) → 1,995만명(’11년 상반기) → 2,287만명(’12년 상반기) → 2,440만명(’13년 상반기) → 2,673만명(’14년 상반기)
<국제선 여객 증감률 추이>
□ (지역별) 중국과 유럽, 동아시아 노선이 전년 동기대비 큰 폭으로 증가
(단위 : 명)
구분 | 중국 | 일본 | 동아시아 | 미주 | 유럽 | 대양주 | 기타 |
’13년 상반기 | 5,621,143 | 5,480,811 | 8,411,558 | 2,018,598 | 1,594,973 | 875,920 | 394,948 |
’14년 상반기 | 7,045,092 | 5,222,449 | 9,245,390 | 2,063,092 | 1,812,142 | 887,085 | 454,172 |
증감률 | 25.3% | -4.7% | 9.9% | 2.2% | 13.6% | 1.3% | 15.0% |
<지역별 국제선 여객 실적>
ㅇ (중국) 한중 노선 운항 확대, 한국 드라마 인기에 힘입은 방한수요 확대로 직항여객 수송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대비 25.3% 성장
ㅇ (일본) 엔저 지속, 한일 정치적 갈등 등으로 전년 동기대비 4.7% 감소
* 15개월 연속(’13.4∼‘14.6월) 전년동월대비 마이너스 성장
ㅇ (동아시아) 아시아지역 항공사 취항노선 및 운항 확대, 한류 영향에 따른 동남아 관광객 증가, 저비용항공사의 해외 근거리 노선 성장 등으로 전년 동기대비 9.9% 증가
ㅇ (유럽) 소치동계올림픽 개최, 한․러 비자면제협정(’14.1.1 발효) 및 유럽 관광수요 확대로 러시아를 포함한 유럽노선 여객 13.6% 증가
□ (공항별) 아시아지역 운항 확대로 양양(586.7%)·청주(76.8%)·제주(54.9%)·무안(11.3%) 공항은 실적이 크게 증가하고, 김해와 인천국제공항도 각각 9.2%와 8.1% 증가하는 등 국제선 모든 공항이 성장 추이 기록
(단위 : 명)
구 분 | 인천 | 김해 | 김포 | 제주 | 청주 | 대구 | 무안 | 사천 | 양양 |
’13년 상반기 | 19,520,009 | 2,125,597 | 1,898,863 | 620,182 | 96,317 | 68,927 | 55,685 | 632 | 11,739 |
’14년 상반기 | 21,098,720 | 2,320,326 | 1,961,898 | 960,848 | 170,285 | 73,605 | 61,966 | 1,167 | 80,607 |
증감률 | 8.1% | 9.2% | 3.3% | 54.9% | 76.8% | 6.8% | 11.3% | 84.7% | 586.7% |
<공항별 국제선 여객 실적>
□ (항공사별) 국적항공사 국제여객 운송량은 전년 동기대비 6.5% 증가하여 63.9%의 시장을 점유
ㅇ 국적 대형항공사의 국제여객 운송량은 전년 동기대비 1.5% 증가하여 52.3%의 시장을 점유했으며 국적 저비용항공사 국제여객 운송량은 전년 동기대비 37.1% 증가하였고 11.6%의 시장을 점유
* LCC 점유율 : 0.2%(’09년 상반기) → 1.8%(’10년 상반기) → 3.6%(’11년 상반기) → 6.8%(’12년 상반기) → 9.3%(’13년 상반기) → 11.6%(’14년 상반기)
(단위 : 명, 출발 및 도착여객)
구분 | 공급석 | 국제여객 | 탑승률(%) | |||||||
’13년 상반기 | ’14년 상반기 | 증감 (%) | ’13년 상반기 | ’14년 상반기 | 증감 (%) | ’13년 상반기 | ’14년 상반기 | 증감 (%p) | ||
대형 국적사 | 대한항공 | 11,307,463 | 11,082,512 | -2.0 | 8,116,311 | 8,049,949 | -0.8 | 71.8 | 72.6 | 0.8 |
아시아나항공 | 7,634,468 | 7,645,947 | 0.2 | 5,655,662 | 5,931,646 | 4.9 | 74.1 | 77.6 | 3.5 | |
소계 | 18,941,931 | 18,728,459 | -1.1 | 13,771,973 | 13,981,595 | 1.5 | 72.7 | 74.7 | 2.0 | |
저비용 항공사 | 에어부산 | 582,759 | 744,466 | 27.7 | 419,900 | 575,345 | 37.0 | 72.1 | 77.3 | 5.2 |
이스타항공 | 495,045 | 610,645 | 23.4 | 425,179 | 531,251 | 24.9 | 85.9 | 87.0 | 1.1 | |
제주항공 | 982,641 | 1,280,262 | 30.3 | 787,173 | 1,043,574 | 32.6 | 80.1 | 81.5 | 1.4 | |
진에어 | 576,180 | 797,421 | 38.4 | 412,308 | 651,418 | 58.0 | 71.6 | 81.7 | 10.1 | |
티웨이항공 | 282,459 | 380,361 | 34.7 | 217,550 | 298,690 | 37.3 | 77.0 | 78.5 | 1.5 | |
소계 | 2,919,084 | 3,813,155 | 30.6 | 2,262,110 | 3,100,278 | 37.1 | 77.5 | 81.3 | 3.8 | |
국적사 계 | 21,861,015 | 22,541,614 | 3.1 | 16,034,083 | 17,081,873 | 6.5 | 73.3 | 75.8 | 2.5 | |
외항사 계 | 11,386,295 | 12,640,530 | 11.0 | 8,363,868 | 9,647,549 | 15.3 | 73.5 | 76.3 | 2.8 | |
총 계 | 33,247,310 | 35,182,144 | 5.8 | 24,397,951 | 26,729,422 | 9.6 | 73.4 | 76.0 | 2.6 |
<항공사별 국제선 여객 실적>
□ (국내여객) 연초 평년보다 높은 기온과 적은 강수량 등의 기상조건으로 인한 국내여행 수요 증가 및 상반기 공급량 확대 등으로 제주노선 여객이 크게 증가하면서 상반기 전체 국내선 실적은 전년동기대비 9.0% 증가
* 국내여객 : 859만명(’09년 상반기) → 998만명(’10년 상반기) → 1,005만명(’11년 상반기) → 1,096만명(’12년 상반기) → 1,069만명(’13년 상반기) → 1,165만명(’14년 상반기)
<국내선 여객 증감률 추이>
□ (공항별) 대구(18.1%)․제주(10.7%)․김포(10.5%)․김해공항(6.6%) 등을 중심으로 성장세
(단위 : 명, 출발여객)
구분 | 제주 | 김포 | 김해 | 광주 | 청주 | 대구 | 인천 | 여수 | 울산 |
’13년 상반기 | 4,353,941 | 3,711,190 | 1,244,125 | 321,619 | 279,101 | 229,214 | 158,016 | 124,547 | 118,276 |
’14년 상반기 | 4,819,338 | 4,102,343 | 1,326,374 | 320,657 | 286,763 | 270,687 | 136,712 | 111,625 | 110,412 |
증감률 | 10.7% | 10.5% | 6.6% | -0.3% | 2.7% | 18.1% | -13.5% | -10.4% | -6.6% |
□ (항공사별) 대형항공사가 전년 동기대비 6.6% 증가한 595만명을 수송하여 51%의 점유율을 보였으며 저비용항공사는 11.5% 증가한 570만명을 수송하여 49%의 시장을 점유
* LCC 점유율 : 23.3%(‘09년 상반기) → 34.0%('10년 상반기) → 40.5%('11년 상반기) → 43.1%('12년 상반기) → 47.8%('13년 상반기) → 49.0%('14년 상반기)
(단위 : 명, 출발여객)
구분 | 공급석 | 국내여객 | 탑승률(%) | |||||||
’13년 상반기 | ’14년 상반기 | 증감 (%) | ’13년 상반기 | ’14년 상반기 | 증감 (%) | ’13년 상반기 | ’14년 상반기 | 증감 (%p) | ||
대형 국적사 | 대한항공 | 4,930,333 | 4,886,019 | -0.9 | 3,397,269 | 3,426,011 | 0.8 | 68.9 | 70.1 | 1.2 |
아시아나항공 | 2,991,386 | 3,433,192 | 14.8 | 2,179,435 | 2,519,349 | 15.6 | 72.9 | 73.4 | 0.5 | |
소계 | 7,921,719 | 8,319,211 | 5.0 | 5,576,704 | 5,945,360 | 6.6 | 70.4 | 71.5 | 1.1 | |
저비용 항공사 | 에어부산 | 1,532,853 | 1,750,632 | 14.2 | 1,172,156 | 1,388,045 | 18.4 | 76.5 | 79.3 | 2.8 |
이스타항공 | 964,233 | 941,013 | -2.4 | 855,468 | 859,723 | 0.5 | 88.7 | 91.4 | 2.7 | |
제주항공 | 1,578,435 | 1,643,271 | 4.1 | 1,423,531 | 1,508,888 | 6.0 | 90.2 | 91.8 | 1.6 | |
진에어 | 957,093 | 1,120,479 | 17.1 | 827,393 | 1,006,927 | 21.7 | 86.4 | 89.9 | 3.5 | |
티웨이항공 | 923,415 | 1,033,455 | 11.9 | 836,142 | 939,494 | 12.4 | 90.5 | 90.9 | 0.4 | |
소계 | 5,956,029 | 6,488,850 | 8.9 | 5,114,690 | 5,703,077 | 11.5 | 85.9 | 87.9 | 2.0 | |
총 계 | 13,877,748 | 14,808,061 | 6.7 | 10,691,394 | 11,648,437 | 9.0 | 77.0 | 78.7 | 1.7 |
<항공사별 국내선 여객 실적>
□ (항공화물) 항공사 화물기 운항 확대와 수출입 호조에 따른 직화물 수요증가로, 국내 및 국제화물이 증가하여 항공화물은 전년동기대비 5.0% 증가(179만톤)
* 항공화물 : 145만톤(’09년 상반기) → 178만톤(’10년 상반기) → 174만톤(’11년 상반기) → 171만톤(’12년 상반기) → 170만톤(’13년 상반기) → 179만톤(’14년 상반기)
<항공화물 증감률 추이>
ㅇ (국제화물) 항공사의 화물기 운항편 확대 및 메모리반도체와 LTE폰 수출 선전 등에 힘입어 전년동기대비 4.9% 증가(158만톤 → 166만톤)
ㅇ (지역별) 중국(9.2%)을 중심으로 일본을 제외한 전 지역 성장세
(단위 : 톤)
구 분 | 중국 | 일본 | 동아시아 | 미주 | 유럽 | 대양주 | 기타 |
’13년 상반기 | 289,178 | 203,368 | 458,209 | 320,737 | 252,529 | 25,005 | 31,366 |
’14년 상반기 | 315,683 | 202,156 | 472,887 | 335,305 | 264,245 | 26,123 | 41,282 |
성장률 | 9.2% | -0.6% | 3.2% | 4.5% | 4.6% | 4.5% | 31.6% |
<지역별 국제선 화물 실적>
□ (국내화물) 국내선 여객 증가에 따라 특히 제주노선의 수하물이 증가하면서 전체 국내화물은 13.2만톤으로 전년동기대비 6.7% 증가
140825(조간) 2014년 7월 항공여객 역대 최고(항공정책과).hwp
'지난 소식 > 국토교통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공공임대 리츠, 민간자금 8천억 성공적 유치 (0) | 2014.08.24 |
---|---|
[국토] 공간정보 융·복합 산업의 발전을 주도하는'2014스마트국토엑스포' 열려 (0) | 2014.08.24 |
[항공] 2014년 7월 항공여객 역대 최고 (0) | 2014.08.24 |
[교통] 전국호환 교통카드, 국민체험단이 꼼꼼하게 모니터 한다! (0) | 2014.08.24 |
[주택] 7월 전월세 거래량은 13만2천건, 전년동월대비 22.5% 증가 (1) | 2014.08.21 |
[교통] 개학대비 수도권 광역버스 200여대 늘린다 (0) | 2014.08.21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