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공면적은 0.8%, 준공면적은 3.2% 증가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14년 1분기 건축 허가면적은 전년동기 보다 4.8% 증가한 27,346천㎡, 동수는 11.0% 증가한 50,261동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지역별 허가면적은 수도권 10,684천㎡(△172천㎡, 1.6%↓), 지방 16,482천㎡(1,420천㎡, 9.4%↑)로 나타났습니다.
《 분기별 건축허가 추이 》
(단위 : 천㎡)
(단위 : 동, 천㎡)
구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
동수 |
49,765 |
68,418 |
57,397 |
62,226 |
53,161 |
69,213 |
54,693 |
54,885 |
45,283 |
65,063 |
57,090 |
59,012 |
50,261 |
연면적 |
27,733 |
35,763 |
35,599 |
38,917 |
30,134 |
37,003 |
37,775 |
38,758 |
26,098 |
30,926 |
31,769 |
38,229 |
27,346 |
착공면적은 전년동기 0.8% 증가한 23,201천㎡, 동수는 11.8% 증가한 40,433동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7,892천㎡(△1,603천㎡, 16.9%↓), 지방 15,308천㎡(1,797천㎡, 13.3%↑)로 나타났습니다.
《 분기별 건축물 착공 추이 》
(단위 : 천㎡)
(단위 : 동, 천㎡)
구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
동수 |
39,896 |
59,427 |
47,884 |
50,607 |
43,398 |
58,590 |
45,420 |
44,249 |
36,158 |
55,944 |
47,435 |
49,512 |
40,433 |
연면적 |
19,614 |
27,971 |
22,464 |
29,934 |
23,426 |
29,030 |
25,292 |
24,628 |
23,007 |
26,690 |
24,784 |
27,656 |
23,201 |
또한, 준공면적은 3.2% 증가한 28,258천㎡, 동수는 14.5% 증가한 43,112동으로 조사되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11,064천㎡(△1,201천㎡, 9.8%↓), 지방 17,194천㎡(2,082천㎡ , 13.8%↑)로 나타났습니다.
《 분기별 건축물 준공 추이 》
(단위 : 천㎡)
(단위 : 동, 천㎡)
구분 ’11년 ’12년 ’13년 ’14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동수 34,442 43,512 47,869 60,363 40,606 44,770 52,305 52,702 37,655 44,605 50,209 54,527 43,112 연면적 20,762 26,221 25,242 36,961 25,473 25,996 28,815 31,644 27,377 32,405 27,358 26,432 28,258
전년동기 대비 건축물 용도별 허가, 착공 및 준공면적 현황은 건축허가 면적의 경우 주거용은 10,348천㎡, 상업용은 7,865천㎡로서 각각 10.1%, 4.9% 증가한 반면, 공업용은 3,356천㎡, 문교사회용은 1,884천㎡로서 각각 4.9%, 17.2% 감소하였습니다.
착공 면적은 주거용은 9,056천㎡, 상업용은 6,563천㎡로서 각각 6.1%, 21.1% 증가한 반면, 공업용은 3,025천㎡, 문교사회용은 1,531천㎡로서 각각 6.5%, 14.6%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준공 면적은 주거용은 9,994천㎡, 상업용은 6,466천㎡, 문교사회용은 3,412천㎡로서 각각 14.5%, 14.2%, 19.8% 증가한 반면, 공업용은 4,673천㎡로서 25.7% 감소하였습니다.
《 전년동기 대비 용도별 건축물 인허가 현황 》
(단위 : 동, 천㎡)
구분 합계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 기타 동수 연면적 동수 연면적 동수 연면적 동수 연면적 동수 연면적 동수 연면적 허 가 전국 50,261 (11.0)* 27,346 (4.8) 21,089 (16.9) 10,348 (10.1) 14,843 (8.5) 7,865 (4.9) 4,369 (-10.3) 3,356 (-4.9) 2,318 (-8.1) 1,884 (-17.2) 7,642 (23.9) 3,890 (14.6) 수도권 14,772 (6.3) 10,864 (-1.6) 5,990 (17.2) 4,014 (17.9) 4,929 (4.1) 3,494 (-11.7) 1,440 (-10.9) 1,184 (-14.4) 858 (-8.9) 738 (-28.6) 1,555 (3.9) 1,432 (14.0) 지방 35,489 (13.1) 16,482 (9.4) 15,099 (16.7) 6,334 (5.7) 9,914 (10.9) 4,371 (23.4) 2,929 (-10.0) 2,171 (1.3) 1,460 (-7.7) 1,146 (-7.7) 6,087 (30.3) 2,458 (15.0) 착 공 전국 40,433 (11.8) 23,201 (0.8) 18,482 (17.0) 9,056 (6.1) 10,230 (13.1) 6,563 (21.1) 3,990 (-5.2) 3,025 (-6.5) 1,401 (-6.4) 1,531 (-14.6) 6,330 (12.8) 3,023 (-24.9) 수도권 11,159 (11.7) 7,892 (-16.9) 5,136 (21.8) 2,563 (-15.0) 3,123 (17.2) 2,735 (3.4) 1,338 (-2.6) 1,144 (-7.5) 434 (0.0) 644 (49.3) 1,128 (-13.6) 804 (-62.9) 지방 29,274 (11.9) 15,308 (13.3) 13,346 (15.3) 6,492 (17.7) 7,107 (11.4) 3,827 (38.1) 2,652 (-6.4) 1,881 (-5.8) 967 (-8.9) 887 (-34.9) 5,202 (20.7) 2,219 (19.2) 준 공 전국 43,112 (14.5) 28,258 (3.2) 16,278 (16.1) 9,994 (14.5) 11,719 (11.8) 6,466 (14.2) 5,484 (12.9) 4,673 (-25.7) 2,954 (10.5) 3,412 (19.8) 6,677 (18.8) 3,711 (-3.6) 수도권 12,285 (14.3) 11,064 (-9.8) 4,559 (17.5) 3,120 (3.6) 3,705 (11.4) 3,075 (7.4) 1,791 (19.7) 1,903 (-47.9) 1,017 (3.0) 1,897 (20.6) 1,213 (14.4) 1,067 (-8.1) 지방 30,827 (14.6) 17,194 (13.8) 11,719 (15.6) 6,873 (20.3) 8,014 (12.0) 3,390 (21.1) 3,693 (9.8) 2,770 (5.0) 1,937 (14.8) 1,515 (18.8) 5,464 (19.8) 2,644 (-1.6)
* 괄호 :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용도별 건축물 분류(통계용)]
|
2014년 1분기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전년 동기대비 주거용 건축물의 허가(10.1%), 착공(6.1%) 및 준공(14.5%) 면적이 모두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준공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는데, 지방(20.3%)이 수도권(3.6%)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전년동기 대비 주거용 건축물 인허가 현황 》
(단위 : 동, 천㎡)
구분 |
허가 |
착공 |
준공 |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동수 |
연면적 | |
전국 |
21,089 (16.9)* |
10,348 (10.1) |
18,482 (17.0) |
9,056 (6.1) |
16,278 (16.1) |
9,994 (14.5) |
수도권 |
5,990 (17.2) |
4,014 (17.9) |
5,136 (21.8) |
2,563 (-15.0) |
4,559 (17.5) |
3,120 (3.6) |
지방 |
15,099 (16.7) |
6,334 (5.7) |
13,346 (15.3) |
6,492 (17.7) |
11,719 (15.6) |
6,873 (20.3) |
둘째, 전년동기 대비 상업용 건축물의 허가(4.9%), 착공(21.1%) 및 준공(14.2%) 면적이 모두 증가하였습니다. 세부 용도별로 살펴보면 건축허가는 제1종근린생활시설(4.1%), 착공은 업무시설(36.4%), 준공은 제2종근린생활시설(14.9%)의 증가율이 높았습니다.
《 전년동기 대비 상업용 건축물 인허가 현황 》
(단위 : 동, 천㎡)
구분 합계 제1종 근린생활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업무시설 기타 동수 연면적 동수 연면적 동수 연면적 동수 연면적 동수 연면적 동수 연면적 허가 14,843 (8.5) 7,865 (4.9) 4,832 (6.3) 1,651 (4.1) 7,861 (10.1) 2,175 (-5.3) 373 (20.3) 1,009 (-14.5) 425 (2.4) 1,077 (-18.0) 1,352 (6.7) 1,951 (74.1) 착공 10,230 (13.1) 6,563 (21.1) 3,440 (5.5) 1,293 (10.3) 5,498 (15.7) 1,718 (23.6) 109 (36.3) 602 (-55.3) 200 (8.1) 1,129 (36.4) 983 (28.0) 1,819 (168.3) 준공 11,719 (11.8) 6,466 (14.2) 3,828 (10.6) 1,535 (14.7) 6,118 (12.9) 2,030 (14.9) 258 (11.7) 594 (-3.9) 348 (-6.2) 1,232 (13.8) 1,167 (16.8) 1,074 (25.5)
* 괄호 :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상업용 건축물 분류(통계용)]
- 기타 : 위락시설, 숙박시설, 운수시설,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 자동차관련시설 등
|
셋째, 전년동기 대비 오피스텔의 허가(2.8%), 착공(90.8) 및 준공(50.0%) 면적이 모두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착공면적의 경우 수도권(130.9%)이 지방(63.5%)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전년동기 대비 오피스텔 인허가 현황 》
(단위 : 동, 천㎡)
구분 허가 착공 준공 동수 연면적 동수 연면적 동수 연면적 전국(증감률) 286(15.3) 576(2.8) 310(16.5) 793(90.8) 347(4.5) 620(50.0) 수도권 127(39.6) 337(24.4) 130(42.9) 389(130.9) 130(51.2) 379(54.6) 지방 159(1.3) 239(-17.4) 180(2.9) 404(63.5) 217(-11.8) 240(43.1)
규모별 변동현황 및 멸실 현황을 보면, 규모별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3.8%인 22,033동, 100~200㎡ 건축물이 9,605동(19.1%), 300~500㎡ 건축물이 7,232동(14.4%)이고, 착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17,250동으로 전체의 42.7%, 100~200㎡ 건축물이 7,254동(17.9%), 300~500㎡ 건축물이 6,443동(15.9%)이며, 준공은 100㎡ 미만 건축물이 16,289동으로 전체의 37.8%, 100~200㎡ 건축물이 8,026동(18.6%), 300~500㎡ 건축물이 6,915동(16.0%)입니다.
소유주체별 건축허가 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48.5%인 13,257천㎡, 개인 9,284천㎡(34.0%), 국․공유 989천㎡(3.6%)이고, 착공 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48.6%인 11,287천㎡, 개인 7,576천㎡(32.7%), 국․공유 2,024(8.7%)이며, 준공 면적은 법인이 전체의 55.6%인 15,712천㎡, 개인 8,329천㎡(29.5%), 국공유 1,854천㎡(6.6%)입니다.
용도별 건축물 멸실 현황은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이 각각 1,284천㎡(9,888동), 672천㎡(2,252동), 242천㎡(350동), 136천㎡(147동) 멸실되었습니다.
주거용은 단독주택이 전체의 58.7%인 753천㎡(8,371동), 다가구주택 204천㎡(1,029동), 아파트 183천㎡(76동)이며, 상업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전체의 38.7%인 260천㎡(1,044동),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257천㎡(934동), 업무시설 46천㎡(28동)으로 나타났습니다.
※ 이들 통계에 대한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 (http://www.eais.go.kr) 및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http://www.molit.go.kr)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상기에 제시된 허가, 착공 및 준공 통계는 인허가 취소 등의 반영 여부에 따라 기존 보도 자료와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140502(석간) '14년 1분기 전국 건축 인허가 현황(녹색건축과).hwp
(붙임) '14년 1분기 건축 인허가 통계자료(녹색건축과).xls
'지난 소식 > 국토교통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 사고수습 지원 체제 구축 (0) | 2014.05.02 |
---|---|
[교통]직행좌석버스 입석해소 대책 관련 (0) | 2014.05.02 |
[건축]'14년 1분기 건축허가 면적, 전년동기 대비 4.8% 증가 (0) | 2014.05.02 |
[주택] '주택임대관리업' 초기 영업실적은 주로 '위탁관리형' (0) | 2014.05.01 |
[국토]민간기업도 '도시공원 지하 활용' 가능해진다. (0) | 2014.05.01 |
[주택]새로운 주거급여, 7월부터 약 4만 가구에 시범사업 실시 (0) | 2014.05.01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