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달 영국의 교통 이야기는 바클레이 사이클 하이어(Barclays Cycle Hire) 입니다.

▲ 바클레이 사이클 하이어 시스템. 출처) www.flickr.com (사진작가: Duncan C)
영국 런던에는 많은 시민과 여행객들의 발이 되어주는 자전거가 있습니다. 아침부터 밤 늦게까지 많은 사람들은 출퇴근 용도, 운동을 위한 용도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자전거를 탑니다. 오늘 소개할 자전거는 런던 어디를 둘러보아도 눈에 띌 만큼 많은 곳에 있으며, 그만큼 많은 이들이 이용하는 자전거입니다. 바로 『바클레이 사이클 하이어』입니다.
이 자전거 시스템은 2010년 7월 30일 런던의 시장 보리스와 Serco Group에 의해 계약 체결되었으며 영국의 바클레이 은행사가 바클레이 은행의 특별한 하늘색과 로고를 광고하는 조건으로 5년 동안 총 2500만 파운드(약 437억 원. 1파운드 = 한화 약 1750원 기준)를 지원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 런던의 보리스 시장. 출처) www.flickr.com (사진작가: backboris2012)
바클레이 사이클 하이어 시스템이 도입된 첫 해(2010년)에 런던에 5,000대의 자전거와 315개의 자전거 도킹 장소가 설정되었습니다. 그 후 2년이 채 안된 2012년 초에 자전거는 8,000대로 증가하였으며 도킹 장소도 570곳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이 기간 동안 자전거가 이용된 횟수는 대략 1,900만 회 입니다.
시스템 도입 초기에는 가입비와 회원비를 지불하면 지급되는 다음과 같은 전자키를 이용하여 바클레이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 Barclays Cycle Hire Key. 출처) www.flickr.com (사진작가: Alex)
정규적인 이용자들은 런던교통국(Transport for London) 웹사이트를 통해 등록할 수 있고 24시간, 일 주일, 일 년 단위로 사용 가능한 티켓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전자키의 구입가격은 3파운드(약 5,250원)입니다. 이 전자키를 이용하여 정규 이용자들은 런던 시내에 있는 도킹 장소에서 원하는 시간대에 자전거를 빌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2010년 말부터는 Debit card나 신용카드를 소지한 사람들도 바클레이 사이클 하이어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습니다.

▲ Barclays 자전거를 타는 시민들. 출처) www.flickr.com (사진작가: Martin Deutsch)
저렴한 이용료로 이용 가능한 바클레이 자전거에 대해서 소수의 사람들은 자전거의 품질 등 위험성을 제기하기도 하였습니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들이 함께 공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고장이 난 상태에서 다음 사용자가 이용할 경우 때로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자전거는 타이어펑크를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타이어가 사용되었으며, 각각의 휠에 브레이크를 장착하였고, 3단 기어를 통해서 자전거를 운용하기 편리하게 제작되었습니다.
또한 자전거 이용 중 흔히 발생하는 기어 분리현상을 막기 위하여 체인 가드를 설치하였으며, 자전거 조명등에 자주 쓰이는 [다이너모]라는 기계를 통해서 다른 차량들이 자전거를 쉽게 볼 수 있는 발전기를 전, 후방에 설치하였습니다.
또한 출퇴근길 시민들을 위하여 핸들 바 앞에 작은 가방을 둘 수 있는 바스켓을 설치하였고, 진흙튀김방지 가드, 안장조절기, 벨 등이 설치되어있습니다.

▲ 자전거 삼단 기어 사진. 출처) www.flickr.com (사진작가: EG FOCUS)
편리하고 좋은 품질의 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증가하자, 그에 따른 문제점도 발생하였습니다.
특정지역의 경우 너무 많은 자전거들이 출퇴근 시간에 몰렸으며, 그에 따라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런던시와 바클레이 사는 일정 시간대별로 자전거가 많이 몰린 곳에서 적은 곳으로 밴을 통해서 자전거를 이동시켰으며, 일정 주기별로 자전거 상태를 체크하고 수리를 하였습니다.

▲ 원활한 자전거 보급을 위해 이용되는 밴. 출처) www.flickr.com (사진작가: kenjonbro2)
그렇다면 바클레이 자전거를 이용하기 위한 금액은 시간대별로, 기간별로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eriod
|
24-hour
access(1일)
|
Seven-day
access(일주일)
|
Annual
access (members only)
|
Cost
|
£2
|
£10
|
£90
|
<접근비용>
위에서 볼 수 있는 비용은 시간, 기간 별로 이용할 수 있는 접근비로 생각하면 됩니다. 이 비용을 결제하면 바클레이 자전거가 주차되어있는 어느 곳에서든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4시간에 2파운드(약 3500원), 일 주일에(약 17500원), 일 년(약 15만 7천원)을 결제해야 합니다.
Time
|
30 min
|
1 h
|
1 h 30
|
2 h
|
2 h 30
|
3 h
|
6 h
|
24 h
|
Rate
|
free
|
£1
|
£4
|
£6
|
£10
|
£15
|
£35
|
£50
|
<사용료>
사용료의 경우, 처음 30분은 무료이며 1시간은 1파운드(한화 약 1750원), 1시간 반은 4파운드(약 7천원), 2시간은 6파운드(약 10500원)... 등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무료시간인 30분 안에 다른 자전거로 교체할 경우 다시금 무료로 30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언뜻 보기에는 굉장히 높은 금액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버스나 지하철 1회 비용이 2.5파운드(한화 약 4300원)~4.5파운드(한화 약 7800원)이 드는 영국에서 런던시와 바클레이사가 지원하는 자전거 정책은 굉장히 저렴한 편에 속합니다.
하지만 때때로 발생하는 고장, 분실, 시간 지연으로 인하여 다른 이용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몇 가지 패널티 규칙을 정해놓고 있습니다. 반납지연의 경우 150파운드(약 26만원), 자전거에 손상을 입힐 경우(최대 52만원), 자전거 미반납(약 52만원)을 지불해야 합니다.

▲ 바클레이 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 출처) www.flickr.com (사진작가: kenjonbro2)
과연 이러한 바클레이 자전거에 대해서 시민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인터뷰를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자단: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 드립니다.
시민: 저는 런던에서 살고 있는 30대 T** 입니다.
기자단: 바클레이 자전거를 이용해서 출퇴근 한다고 들었습니다. 바클레이 자전거에 대한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시민: 회사가 30분 이내이기 때문에 소액의 비용을 내고 거의 무료로 탄다는 점에 매력을 느껴서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일정 기간별로 자전거를 고쳐주기 때문에 상태가 나쁜 자전거를 이용할 확률도 적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제가 직접 자전거를 구입하면 주기적으로 관리도 해줘야 하고 도난의 위험성도 크지만 바클레이 자전거의 경우 필요할 때마다 언제라도 쓰고 반납하면 되고, 도난의 위험성이 없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기자단: 하지만 반납을 지연할 경우 추가요금을 내야합니다. 원하는 장소에 반납할 수 없다면 그 또한 불편을 초래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시민: 네. 때로는 30분 무료시간을 넘기지 않기 위해 빠르게 달릴 때도 있지만 런던 시내 전역에 반납할 수 있는 시스템이 곳곳에 퍼져있기 때문에 큰 불편은 없습니다.
기자단: 그렇다면 개선해야 할 부분은 무엇일까요?
시민: 30분에서 1시간 정도로 무료시간이 늘어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때로는 런던 시내 교통상황 때문에 목적지까지 30분 이내로 가기 어려울 때도 있고 다른 자전거로 바꾸기 어려운 상황도 생기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자전거를 필요로 하는 다른 이용자를 생각하면 이 자전거 정책을 도입한 런던시의 30분 무료정책도 이해는 할 수 있습니다.
기자단: 인터뷰 감사합니다.

▲ Barclays Cycle Hire. 출처) www.flickr.com (사진작가: Scott Beale)
런던시와 기업의 협력으로 많은 시민들이 큰 혜택을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단순히 시민들의 자전거 이용 빈도만을 증가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런던의 대기오염을 줄이고, 시민들의 건강을 증진시키며, 자전거 또한 택시나 버스와 같은 하나의 대중교통으로 자리매김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많은 불안요소를 가지고 시작했지만 몇 년이 지난 지금 다른 나라, 세계인들이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성공적인 정책으로 성장하였는데요. 대한민국의 자전거 문화도 좀 더 많은 사람들이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이 되기 바랍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런던의 버스는 화장실도 있군요~
2015.09.10 20:59 [ ADDR : EDIT/ DEL : REPLY ]아~~~ 런던에 또 가고 싶어요.
2015.09.10 21:56 [ ADDR : EDIT/ DEL : REPLY ]서양 나라들은 대부분 운전대가 오른쪽에 있는 것 같아서 항상 그 이유가 궁금했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015.09.11 23:09 [ ADDR : EDIT/ DEL : REPLY ]런던 이층버스 타보고 싶네요~~
2015.09.13 22:24 [ ADDR : EDIT/ DEL : REPLY ]우와.,...영국 가보고싶네여!
2015.09.15 23:02 [ ADDR : EDIT/ DEL : REPLY ]우리나라에도 광역버스로 2층버스가 투입이 되는데 무엇보다 안전이 상당히 중요하겠네요.
2015.09.16 09:52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가보고 싶네요..
2015.09.16 13:24 [ ADDR : EDIT/ DEL : REPLY ]런던에 다시 한번 빨간 버스를 타고 여행을 하고 싶네요.
2015.09.16 15:41 [ ADDR : EDIT/ DEL : REPLY ]영국하면 빨간2층버스~ 멋진 테마여행글 잘 읽었습니다^^
2015.09.16 17:33 [ ADDR : EDIT/ DEL : REPLY ]영국하면 빨간2층버스~ 멋진 테마여행글 잘 읽었습니다^^
2015.09.16 17:33 [ ADDR : EDIT/ DEL : REPLY ]빨간 이층버스는 런던의 랜드마크인것 같아요~ 재미있으셨겠네요!!
2015.09.22 01:48 [ ADDR : EDIT/ DEL : REPLY ]영국하면 역시! 2층버스 ㅎ 기사 잘 읽었습니다.
2015.10.10 19:11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런던 제가 참 좋아하는 곳이에요 또 가고싶군요
2015.10.10 19:42 [ ADDR : EDIT/ DEL : REPL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