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국민 중심 서비스 정부 3.0 정책’에 따라 민간에 개방한 2억 8천여 건의 건축물정보를 더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2015년 11월 20일(금)부터 4종 53개 오픈 API* 서비스를 시범운영합니다.
*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다양한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외부 개발자나 사용자 등과
공유하는 정보프로그램
예) 구글 맵 API 공개로 친구 위치 찾기, 부동산 정보 등 신규 서비스 창출
<건축데이터 민간개방 시스템 오픈API 서비스 개념도>
금년 2월 1일부터 민간에 개방한 건축물정보는 원시데이터* 형태로 사용자가 직접 다운로드받아 별도의 가공 과정을 거쳐야만 사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 건축물정보 원시데이터는 엑셀, 텍스트 형식의 자료로 제공됨
그러나 이번에 시범으로 제공하는 4종(건축물대장, 건축인허가, 주택인허가 및 폐쇄 건축물대장) 53*개 오픈 API를 활용하면 사용자는 프로그램에 직접 연계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쉽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 건축물 부속지번 조회 등 건축물대장 분야 10개, 주택유형조회 등
건축인허가 분야 17개, 호별개요 등 주택인허가 분야 16개, 폐쇄말소대장
분야 10개
이와 같이 사용자가 오픈 API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면 건축물정보를 이용한 비즈니스를 수행하거나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개방 건축물정보의 활용이 더욱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에 시범운영하는 오픈 API 서비스는 행정자치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사회․경제적으로 개방효과가 큰 국가중점 개방데이터를 대상으로 지원되는 사업으로 지난 2월에 개방된 건축물정보를 우선 제공하고, 12월말부터는 추가 개방되는 건물에너지 사용량 정보, 건축물 점검정보 등 2종의 정보를 추가하여 총 6종 59개로 확대한 오픈 API 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건축물정보 오픈 API 서비스의 이용은 11월 20일(금)부터 ‘건축데이터 민간개방시스템’ 홈페이지(open.eais.go.kr)를 경유하거나 공공데이터포털 (data.go.kr)에 누구나 직접 접속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과 절차에 대한 전화(070-7866-0907, 1566-0025) 문의도 가능합니다.

'지난 소식 > 국토교통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기업 후배 취업은 내가 책임진다 (13) | 2015.11.19 |
---|---|
서울-세종 고속도로 추진 (14) | 2015.11.19 |
건축 데이터 2억 8천 건 어떻게 활용하지? (12) | 2015.11.18 |
입주 예정 아파트 한꺼번에 훑어보기 (11) | 2015.11.18 |
겨울철 철도안전관리 강화 (12) | 2015.11.18 |
다목적댐 저수량 소폭 상승 (9) | 2015.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