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른길공원 전경(출처 : 푸른길공원 홈페이지)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에는 전국을 활보하는 철도망이 잘 갖춰져 있습니다. 특히 2000년대를 접어들며 고속철도의 신설과 고속화된 철로들이 좀 더 빠르고 편안하게 승객들을 목적지로 실어다 주고 있는데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구불구불한 철로들이 하나둘씩 자리를 내주고 있습니다. 보통 이것을 폐선이라고 하는데, 전국의 수많은 폐선부지 중 시민들과 함께 공존하고, 관광지로 부상하는 곳들을 만나보고자 합니다. 본격 폐선부지 답사 프로젝트. 첫 번째로는 구 남광주역에 조성되어 있는 푸른길이 주인공입니다.
푸른길 소개
푸른길은 과거 경전선으로 연결이 되었던 광주선이 다니던 도심구간에 조성되어 있는데요.
1938년, 푸른길이 조성되어있는 곳에 남광주역이 생겼습니다. 남광주역이 생기면서 이 일대로 시장이 만들어지고, 근처 화순, 보성 사람들이 시장에 장을 보기 위해 이 노선을 많이 이용했다고 합니다.
▲ 남광주역터 표지석
하지만 시내 한복판에 철로가 다니게 되니 지역단절은 물론, 소음공해로 주민들의 불만이 많았었습니다. 그래서 2000년, 경전선이 외곽으로 이설되면서 결국 도심에 자리 잡고 있던 남광주역은 문을 닫게 되었습니다.
▲ 구 남광주역에 남아있는 철도 신호등
남광주역이 문을 닫고, 이 일대로의 폐선부지 활용을 놓고 꽤 긴 시간동안 논의가 오고 갔는데요. 광주 시민과 지자체의 협의가 잘 이루어지면서 2013년, 총 연장 7.9km의 푸른길공원이 조성되었습니다.
푸른길 둘러보기
광주역부터 시작되는 푸른길은 필문로, 대남로, 주월~진월구간, 동구구간, 남광주 구간으로 총 5개의 섹션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푸른길공원에서 가장 유명한 구간은 마지막의 남광주구간 입니다. 양림동과 학동을 이어주는 이 구간은 구 남광주역 플랫폼을 활용하여 푸른길 방문자 센터와 푸른길 기차가 조성되어 있습니다.
▲ 푸른길공원 내 위치한 푸른길 기차 (출처 : 푸른길공원 홈페이지)
이곳은 남광주역 인근의 어린이들을 위한 도서관이자 놀이터인 공간이기도 한데요. 기차를 타고 여행을 가며 책을 읽는 기분을 느낄 수 있고, 벽면에 설치된 그림판에 그림을 그리며 놀 수도 있으며 마룻바닥에서 뒹굴며 책도 볼 수 있습니다. 이 기차 안에는 시민들이 활용할 수 있는 여가 시설들도 조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푸른길 기차 안에는 푸른길 기차 도서관과 푸른길 재능 나눔 기차 카페가 있는데요.
▲ 푸른길 기차 도서관
비록 오래되어 페인트도 벗겨졌고, 녹이 슨 폐 객차들이지만, 시민들이 자주 찾고 문화 공간으로까지 활용되어 왠지 모를 뿌듯함을 느꼈습니다.
또한 이곳에서는 매달 한 번씩 푸른길 별별 장터가 열리는데요. 마침 이날 별별 장터가 열렸습니다. 먹거리 장터, 나눔 가게, 노래자랑 등 다채로운 행사들이 열렸습니다.
▲ 별별 장터가 열리고 있는 푸른길공원
푸른길공원은 추후 광주대학교에서 효천역까지의 폐선부지를 연결하는 프로젝트를 준비 중에 있습니다. 앞으로 제 2, 제 3의 푸른길이 조성되어 미국 뉴욕의 하이라인 공원과 프랑스 비아 뒤 데자르처럼 시민들의 사랑을 듬뿍 받는 공원으로 발전해 나갔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폐선부지 활용에 고심하고 있는 많은 지자체들이 광주 푸른길공원을 참고하여 시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난 소식 > 청년 기자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생기자단] 부산과 울산을 빠르게 이어주는 동해남부선 복선전철 사업에 대해 알아보아요. (19) | 2015.08.18 |
---|---|
[대학생기자단] 다가오는 여름휴가! 특별교통대책 시행으로 편리하게 다녀오세요! (12) | 2015.08.18 |
[대학생기자단] 폐선부지 활용에 대하여, 남광주역 푸른 길 (26) | 2015.08.18 |
[대학생기자단] 해외건설 50주년, 해외건설의 발자취를 되짚어 보다 (13) | 2015.08.18 |
[대학생기자단] 하늘을 향해 걷는 1,800년 옛길, 충주 하늘재 (11) | 2015.08.18 |
[대학생기자단] 거북선의 기상으로 남도를 누비는 남도해양관광열차, S-Train (14) | 2015.08.13 |
댓글을 달아 주세요
폐선 부지를 잘 이용한 예이네요.기사 잘 읽었습니다
2015.08.20 15:10 [ ADDR : EDIT/ DEL : REPLY ]감사합니다 ㅎ
2015.08.27 23:24 신고 [ ADDR : EDIT/ DEL ]폐선을 정말 잘 활용한 것 같아요
2015.08.24 08:42 [ ADDR : EDIT/ DEL : REPLY ]그렇습니다 ㅎ
2015.08.27 23:24 신고 [ ADDR : EDIT/ DEL ]잘읽었습니다
2015.08.24 09:37 [ ADDR : EDIT/ DEL : REPLY ]네 감사합니다
2015.08.27 23:24 신고 [ ADDR : EDIT/ DEL ]잘 읽었습니다.
2015.08.24 16:22 [ ADDR : EDIT/ DEL : REPLY ]네 감사합니다
2015.08.27 23:24 신고 [ ADDR : EDIT/ DEL ]학교가면서 자주 들리는 곳인데 공원 참 잘되있더군요~
2015.08.24 16:56 [ ADDR : EDIT/ DEL : REPLY ]네 저도 처음 갔지만 정말 좋았슺니다
2015.08.27 23:25 신고 [ ADDR : EDIT/ DEL ]정말 그 좋은 예이네요!!
2015.08.25 01:03 [ ADDR : EDIT/ DEL : REPLY ]네네 ㅎ
2015.08.27 23:25 신고 [ ADDR : EDIT/ DEL ]열차가 떠난 자리가 특색있는 공간으로 변모한 것이 흥미롭습니다.
2015.08.25 08:52 [ ADDR : EDIT/ DEL : REPLY ]네 맞습니다~
2015.08.27 23:25 신고 [ ADDR : EDIT/ DEL ]잘 봤습니다!
2015.08.26 02:54 [ ADDR : EDIT/ DEL : REPLY ]네 감사합니다
2015.08.27 23:25 신고 [ ADDR : EDIT/ DEL ]기차길이 멋짓게 변신하네요.
2015.08.26 17:27 [ ADDR : EDIT/ DEL : REPLY ]네 그렇죠? ㅎㅎ
2015.08.27 23:25 신고 [ ADDR : EDIT/ DEL ]앞으로도 우리나라 폐선부지가 잘 활용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2015.08.27 01:18 [ ADDR : EDIT/ DEL : REPLY ]푸른길 이외에도 이런 비슷한 사례들이 늘어났으면 하네요
2015.08.27 23:26 신고 [ ADDR : EDIT/ DEL ]최근 철도가 직선 및 고속화로 인하여 폐선부지가 앞으로도 많이 생길 예정인데, 꼭 잘 쓰였으면 좋겠네요.
2015.08.27 16:31 [ ADDR : EDIT/ DEL : REPLY ]네 좋습니다
2015.08.27 23:27 신고 [ ADDR : EDIT/ DEL ]광주도 가 보고 싶어지네요~
2015.08.27 21:29 [ ADDR : EDIT/ DEL : REPLY ]그렇죠 ㅎ
2015.08.27 23:27 신고 [ ADDR : EDIT/ DEL ]멋있네요 ! 잘 보고 갑니다.
2015.09.06 18:32 [ ADDR : EDIT/ DEL : REPLY ]지역의 유휴공간을 이렇게 우수하게 활용하는 사례가 다양하고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2015.09.10 11:29 [ ADDR : EDIT/ DEL : REPL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