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번도, 지적도, 항공도에서 산사태 위험지역 지도 등 무상공개
공간정보 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지도 : 지구 표면의 상태를 일정한 비율로 줄여, 이를 약속된 기호로 평면에 나타낸 그림.
지도, 일찍이 인류가 지구라는 행성을 개발하고 개척하는데 가장 큰 공헌을 한 발명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겁니다. 단순히 위치와 지형만을 표시하던 지도가 발전하면서 최근에는 지번도, 지적도, 항공도 등 특수한 목적을 가진 지도까지 생겨나게 되었는데요. 이러한 특수 지도들은 정확한 정보와 그에 해당하는 분석, 측정 기술을 지녀야하기 때문에 한 나라의 최첨단 과학기술이 모두 집중되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지요. 이러한 첨단 과학기술이 적용된 지도는 "공간정보" 라고도 불립니다.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국가․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이 보유한 12종의 지도정보에 대한 샘플 데이터를 산업체, 연구기관 등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국가공간정보유통시스템을 통해 무상으로 서비스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산업체나 연구기관이 공간정보를 활용한 각종 산업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할때 도움이 되고자 하는 취지인데요. 웬만한 규모의 조직은 이러한 지도를 구축하거나 찾는데 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보다 쉽게 산업 콘텐츠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국가공간정보 유통시스템 사용 TIP
1. 국가공간정보유통시스템 http://nsic.go.kr/ndsi/ 로 접속한다.
2. 회원가입 후 로그인을 한다.
3. 유통정보를 검색
4. 샘플정보의 융합정보를 확인한다
5. 각각의 파일을 다운 받는다.
만일 더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헬프 데스크(평일 09:00 ~ 18:00) 으로 문의주세요!
02 - 2110 - 6028
1. 국가공간정보유통시스템 http://nsic.go.kr/ndsi/ 로 접속한다.
2. 회원가입 후 로그인을 한다.
3. 유통정보를 검색
4. 샘플정보의 융합정보를 확인한다
5. 각각의 파일을 다운 받는다.
만일 더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헬프 데스크(평일 09:00 ~ 18:00) 으로 문의주세요!
02 - 2110 - 6028
이번에 서비스 하는 지도 정보는 과천․안양지역을 중심으로 수치지형도, 연속지적도, 산림도 등 12종인데요. 이밖에 임상도, 임도망도, 산사태위험관리도, 토지피복도, 국토환경성 평가도, 생태자연도, 항공사진, 지번도, 지형이미지데이터 등 이 있는데요. 다소 생소한 이름이 지도들이 많죠?
이번 지도정보 샘플데이터 무상 서비스는 공간정보의 사용 활성화를 통한 관련 산업 발전에 커다란 도움을 줄 것이며, 앞으로도 국토해양부는 중앙정부 및 지자체에서 생산하는 다양한 공간정보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갈 예정입니다. 대한민국 첨단과학기술, 지도를 통해 살펴보는것을 어떨까요? ^^
'지난 소식 > 국토교통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주운전 이제는 그만! 음주운전 처벌 강화 (8) | 2011.12.19 |
---|---|
영동고속도로 신갈-호법 전구간 조기 확장 개통 (0) | 2011.12.16 |
첨단기술의 집합체, 공간정보 무엇인지 살펴보니 (8) | 2011.12.14 |
대학생이 가장 알고 싶어하는 주택정책 5문 5답 (0) | 2011.12.08 |
주말드라이브 어디로 가야할까? -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로 52선 선정 - (6) | 2011.12.07 |
송년회 모임 후 서울택시잡기 힘든 이유 분석해보니 (6) | 2011.12.05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오호~ 정말 다양한 정보가 있네요!
2011.12.14 11:43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이뿐만 아니라 부동산, 교통 등 실생활에
2011.12.14 13:54 신고 [ ADDR : EDIT/ DEL ]유용한 정책 정보도 다른 카테고리에 많이 있답니다.^^
좋은정보 잘보고갑니다^^
2011.12.15 00:31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하루 마무리 잘하시고, 행복한 저녁되세요^^
별이님도 좋은 하루 되세요.^^
2011.12.20 19:14 신고 [ ADDR : EDIT/ DEL ]아무래도 국가기관의 대표(?)블로그인만큼, 맞춤법만은 좀.. 정확해야 한다고 보며, 그러기 위해 맞춤법프로그램등을 좀 이용해서 한번 검사한 후에 글을 올려도 올려야할 걸로 생각됩니다.
2011.12.15 20:35 [ ADDR : EDIT/ DEL : REPLY ]그런 점에서 조금.. 아쉽네요.
'왠만한'은 '웬만한'으로 고쳐야겠지요?
정책에 대한 관심 감사드립니다.
2011.12.20 19:15 신고 [ ADDR : EDIT/ DEL ]의견 참고하여 본문내용 수정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잘 보고 갑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2011.12.21 10:33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넵 좋은 밤되세요.^^
2011.12.21 21:41 신고 [ ADDR : EDIT/ DEL ]